※ spring 흐름에 대해 간단 요약
먼저, 클라이언트가 요청 시~작!
1. DispatcherServlet 으로 요청이 들어오면,
HandlerMapping 을 이용해서(bean설정파일 xml에 정의되어 있음) 요청한 URL에 해당하는 컨트롤러 찾는다.
URL 기반으로 컨트롤러가 정해져 있으므로..
ex) http://www.abc.com/test/test.do 등으로 접근
2. 컨트롤러를 얻으면 DispatcherServlet이 요청에 대한 모든 작업을 컨트롤러에게 넘긴다.
ex) web.xml에서 servlet, servlet-mapping 내용을 보고 %servlet_name%-servlet.xml 읽어들임
handlerMapping 에서 컨트롤러 가져옴
3. 컨트롤러에서 비즈니스로직 등을 모두 처리하고 생성된 모델데이터/뷰의 정보를 DispatcherServlet에 반환한다.
ModelAndView 클래스에 담아서 반환처리.
4. DispatcherServlet에 전달된 ModelAndView 클래스의 view 정보는
view객체 or view이름을 가진다.
- 컨트롤러에서 view객체를 통해서 반환되면, DispatcherServlet은 view객체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 화면에 출력
- 컨트롤러에서 view이름을 통해서 반환되면, bean설정파일에 정의된 ViewResolver 클래스를 이용해서
클라이언트에게 출력할 view객체를 얻는다.
참고하기>
http://blog.daum.net/dooly_zone/7759925
http://www.ezslookingaround.com/blog/tech/?no=1763
'▶ Java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노테이션 컨트롤러 설정 (0) | 2012.04.1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