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w3schools.com/html/tryit.asp?filename=tryhtml5_html5_skeleton



<!DOCTYPE html>

<html lang="en">

<head>

<title>HTML5</title>

<meta charset="utf-8">


<!--[if lt IE 9]>

<script src="http://html5shiv.googlecode.com/svn/trunk/html5.js">

</script>

<![endif]-->


<style>

body {font-family: Verdana, sans-serif; font-size:0.8em;}

header, nav, section, article, footer

{border:1px solid grey; margin:5px; padding:8px;}

nav ul {margin:0; padding:0;}

nav ul li {display:inline; margin:5px;}

</style>

</head>


<body>


<header>

<h1>HTML5 Skeleton</h1>

</header>


<nav>

<ul>

  <li><a href="html5_semantic_elements.asp">HTML5 Semantic</a></li>

  <li><a href="html5_geolocation.asp">HTML5 Geolocation</a></li>

  <li><a href="html5_canvas.asp">HTML5 Graphics</a></li>

</ul>

</nav>


<section>


<h2>Famous Cities</h2>


<article>

<h2>London</h2>

<p>London is the capital city of England. It is the most populous city in the United Kingdom,

with a metropolitan area of over 13 million inhabitants.</p>

</article>


<article>

<h2>Paris</h2>

<p>Paris is the capital and most populous city of France.</p>

</article>


<article>

<h2>Tokyo</h2>

<p>Tokyo is the capital of Japan, the center of the Greater Tokyo Area,

and the most populous metropolitan area in the world.</p>

</article>


</section>


<footer>

<p>&copy; 2014 W3Schools. All rights reserved.</p>

</footer>


</body>

</html>



'htm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터 고정 템플릿  (0) 2014.05.20
기본 템플릿  (0) 2014.05.12

기본적인 디폴트 셋팅은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6.0\webapps\ROOT 로 잡혀있음.


D:\tomcat_svr 로 바꾸고 싶다면,


1.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6.0\webapps 하위의 

폴더 3개 (docs, manager, ROOT) 를 복사해서

D:\tomcat_svr 하위에 놓기.


2. 

C:\Program Files\Apache Software Foundation\Tomcat 6.0\conf 의 

server.xml 파일 수정.


수정 :

 <Host name="localhost"  appBase="D:\tomcat_svr"

            unpackWARs="true" autoDeploy="true"

            xmlValidation="false" xmlNamespaceAware="false">


추가 : 

<Context path="" docBase="." reloadable="true" />


3. 끝!!


D:\tomcat_svr\test.html 파일을

http://localhost:8080/test.html 로 호출이 가능해졌다!

참고하기 

http://support.apple.com/kb/HT1171?viewlocale=ko_KR&locale=ko_KR

'mac_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폰트 변경하기  (0) 2014.03.30
맥에서 한자 입력  (0) 2014.03.29
자주쓰는 단축키  (0) 2014.03.29
호스트 파일 설정  (0) 2014.03.29
<script type="text/javascript"> 
<!-- 
// 셈플용 이벤트 등록 함수 
function myAttachEvent(eventObj, event, eventHandler){  
   if(eventObj.addEventListener) // IE외 
   eventObj.addEventListener(event, eventHandler, false); 
   else if(eventObj.attachEvent){ 
      event = 'on'+event; 
      eventObj.attachEvent(event, eventHandler); 
   } 

//--> 
</script> 

1. Tag에 직접적용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onclick="alert('클릭 하였습니다.')"
<hr> 

2. Tag에 함수호출
<script type="text/javascript"> 
<!-- 
function myClick(){ 
   alert('클릭 하였습니다.') 

//-->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onclick="myClick()"
<hr> 

3. Tag에 함수할당
3.1 직접할당 #1(테그 아래에서 할당)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id="myClick1"> 
<script type="text/javascript"> 
<!-- 
document.getElementById('myClick1').onclick = myClick; 
//--> 
</script> 
<Br> 
3.2 직접할당 #2(window.onload 이벤트에서 할당)
<script type="text/javascript">
<!-- 
myAttachEvent(window,'load', function(){ 
   document.getElementById('myClick2').onclick = myClick; 
}); 
//-->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id="myClick2"> 
<Br> 
3.3 직접할당 #3(람다함수 할당)
<script type="text/javascript"> 
<!-- 
myAttachEvent(window,'load', function(){ 
   document.getElementById('myClick3').onclick = function(){ 
      alert('클릭 하였습니다.') 
   }; 
}); 
//-->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id="myClick3"> 
<Br> 
3.4 직접할당 #3(이벤트 할당함수 이용)
<script type="text/javascript"> 
<!-- 
myAttachEvent(window,'load', function(){ 
   var eventObj = document.getElementById('myClick4'); 
   var event='click'; 
   if(eventObj.addEventListener) // IE외 
             eventObj.addEventListener(event, myClick, false); 
         else if(eventObj.attachEvent){ 
                event = 'on'+event; 
                eventObj.attachEvent(event, myClick); 
         } 
}); 
//--> 
</script> 
<input type="button" value="클릭" id="myClick4"> 
<hr>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 prototype 과 충돌 해결  (0) 2014.05.22
이벤트 처리 addEventListener()  (0) 2014.05.21
브라우저 크기, 객체 높이  (0) 2014.05.20
바로가기 스크립트  (0) 2014.03.12
이미지 미리 로딩  (0) 2014.02.28

화면단 코딩을 쌩 자바스크립트로 사용하면 코드가 길어지고 화면구성이 지저분해지기 일 쑤 다.

그래서 나온것들이 자바스크립트 프레임워크


대표적으로 프로토타입과 제이쿼리가있는데 이둘을 동시에 로드하면 충돌이 꽝하고 난다.

그런데 프로토타입으로 개발된 사이트를 내가 갑자기 떠안았을때 당장 프로토타입을 공부할 시간이 없을땐??

그렇다고 모든걸 제이쿼리로 대체할 수도 없을땐??


걍 로드시켜버린다.


충돌은 다음과같이 추가하면 단순하게 해결 끝



<script type="text/javascript">

    jQuery.noConflict();

</script>



단, 제이쿼리에서 $ 이 symbol을 사용할 수 없다.

jQuery(document).ready(function() { });

의 방식으로 jQuery 를 사용하면 된다.


출처 : http://lovemeplz.tistory.com/144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클릭 이벤트  (0) 2014.05.22
이벤트 처리 addEventListener()  (0) 2014.05.21
브라우저 크기, 객체 높이  (0) 2014.05.20
바로가기 스크립트  (0) 2014.03.12
이미지 미리 로딩  (0) 2014.02.28

<input id="addPostit" type="button" value="New Postit"> 라면.


window.onload = function(){

var btn = document.getElementById("addPostit");
btn.addEventListener("click", btnClick, true);

};

function btnClick() {
alert("zzz");
}



- 버튼 클릭 이벤트 발생시, alert 처리.

- onload 는 페이지의 모든 리소스(이미지..)가 로드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나중에 실행됨.



# addEventListener 이벤트 종류 

 

대상.addEventListener("종류",실행하려는 함수,true and false)

 

이벤트 종류.

마우스와 키보드 이벤트가 대부분임

 

마우스이벤트

click   마우스 버튼 클릭시 발생

dblclick   마우스 더블클릭시 발생

mousedown  마우스 버튼을 눌렀을 때 발생

mouseup   마우스 버튼을 눌렀다 땠을 때 발생

mouseover   마우스 커서를 올려 놓았을 때 발생

mouseout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았다가 밖으로 나갈 때 발생

mousemove  마우스 커서를 움직일 때 발생

 

키보드 이벤트

keydown  키보드가 눌려있을 때 발생

keyup  미보드가 눌려있다가 떼는 순간 발생

keypress  키보드가 눌리는 순간 발생

 

 

html이벤트

load 페이지를 전부 눌려있을 때 발생

unload 페이지로 부터 빠져 나갈 때 발생

abort 페이지를 읽다가 사용자의 중지 요청에 의해 중단되는 경우 발생

error 페이지를 읽다가 오류에 의해 중단되는 경우 발생

select 텍스트박스에서 사용자가 특정 문자나 문자열을 선택했을 때 발생

change 텍스트박스의 값이 변경되는 경우 발생

submit FORM에서의 submit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발생

reset FORM에서의 reset 버튼이 클릭되는 경우 발생

resize 윈도우(window)나 프레임(frame)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발생

scroll 스크롤바가 스크롤되는 경우 발생

focus 특정 객체(element)에 포커스가 주어지는 경우 발생

blur 특정 객체(element)에 포커스가 있다가 사라지는 경우 발생

[출처] addEventListener|작성자 댕이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클릭 이벤트  (0) 2014.05.22
jQuery / prototype 과 충돌 해결  (0) 2014.05.22
브라우저 크기, 객체 높이  (0) 2014.05.20
바로가기 스크립트  (0) 2014.03.12
이미지 미리 로딩  (0) 2014.02.28

offsetHeight 

그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객체의 높이를 반환


offsetWidth

그 객체를 포함하고 있는 상위객체의 폭을 반환


clientHeight

스크롤바를 포함하는 요소의 높이를 반환

ex) document.getElementById("column_left").clientHeight


clientWidth

스크롤바를 포함하는 요소의 폭을 반환


scrollHeight

스크롤바를 움직이지 않고 보여지는 요소의 전체 높이


scrollLeft

요소의 왼쪽 스크롤 된 폭을 반환


scrollTop

요소의 위쪽 스크롤 된 폭을 반환


scrollWidth

스크롤바를 움직이지 않고 보여지는 요소의 전체 폭


screen.availHeight : 이용가능한 높이

screen.availWidth : 이용가능한 너비

=> 이 둘은 해상도를 바꾸지 않는한 고정. 화면에 꽉차게 팝업 띄울 필요가 있을때 사용하면 OK.


screen.height : 해상도 높이

screen.width : 해상도 너비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 prototype 과 충돌 해결  (0) 2014.05.22
이벤트 처리 addEventListener()  (0) 2014.05.21
바로가기 스크립트  (0) 2014.03.12
이미지 미리 로딩  (0) 2014.02.28
마우스 오버시 나타나는 메뉴  (0) 2012.02.17

출처 : http://blog.naver.com/demege1878?Redirect=Log&logNo=100208607827

HTML 마크업

 

<body>

<div class="wrap">
     <div class="head">head</div>
     <div class="container">
           <div class="side">side</div>
           <div class="cont">cont<br/>cont<br/>cont<br/>cont<br/>cont</div>
     </div>
     <div class="footer">footer</div>
</div>
</body>

 

CSS

html, body {width:100%; height:100%;}

 

화면내 DIV 박스들을 정확하게 %값으로 조정하려면 html과 body태그에 width:100%와 height:100%를 주어야 한다.


.wrap {width:100%; height:100%;}

 

wrap으로 내용을 둘러쌈으로서 안에 있는 내용들은 wrap을 기준으로 %의 길이가 조정된다.


.head {position:relative; z-index:2; height:30px; background-color: red;}

 

head에 z-index를 주는 이유는 아래 container박스가 100%이기때문에 head박스가 그 밑으로 가라 앉기 때문이다. (z-index를

  주기 위해서는 position값을 주어야 한다.

 

  tip. HTML 내 div 박스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쌓인다. 예를 들어  head, container, footer의 경우 head 부터 순서대로 div 박스가

  쌓인다고 생각하면 된다 z-index로 생각해보면 head->z-indx:1 /  container->z-indx:2 / footer->z-indx:3


.container {min-height:100%; margin:-30px 0 -50px 0; background-color:green;}

 

container를 margin 값을 주는 이유?

  container의 높이가  100%이기 때문에 head:30px footer:50px의 높이값을 margin ( -30px  / - 50px ) 값으로 주지 않는다면

  100%+30px+50px의 높이가 되기때문에 100%를 넘어가게 된다. 따라서 head footer의 높이만큼 빼주어야 한다.

height값이 아닌 min-height값을 주는 이유?

​  최솟값으로 해줘야 나중에 container안에 많은 div박스가 생겼을때 스크롤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footer { height:50px; background-color:yellow;}


.side {position:absolute; top:30px; z-index:1; height:200px; width:200px; background-color:pink;}

 

position:absolute값을 주는이유?

   side를 좌측에 배치하기 위해서.


.cont {position:relative; padding:30px 0 0 200px; background-color: gray;}

 

-  relative를 주는이유?

   side 값에 걸린 absolute값을 초기화 시켜 주기위해서 주는값.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간, 줄간격 조정  (0) 2014.03.30
따라다니는 퀵메뉴 참고  (0) 2013.02.25
IE7 레이어 버그  (0) 2013.01.24
clear:both  (0) 2012.05.09
word-break  (0) 2012.05.09

초간단한 방법으로 

푸터를 고정시킬 수 있는 샘플소스임.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이그셈플</title>

<style type="text/css">

html,body{height:100%}

body{margin:0}

#body{min-height:100%}

#content{padding-bottom:1.9em}

#foot{margin-top:-1.9em;height:1.9em}

#body{background:#eee}

#content{background:#ddd;width:60%;margin:0 auto} 

#foot{background:#ccc}

</style>

<body>


<div id="body">

   <div id="content">

    BODY

    </div>

</div>

<div id="foot">

FOOTER

</div>


</body>

</html>

'htm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 skeleton  (0) 2015.07.10
기본 템플릿  (0) 2014.05.12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flexible 레이아웃</title>

<style type="text/css">

#wrap{width:100%}

#header{width:100%}

#container{_display:inline-block;width:100%}

#container:after{display:block;clear:both;content:''}

.snb{float:left;width:180px;margin-right:-200px}

#content{margin-left:200px}

#footer{width:100%}


div{margin:0 0 10px;padding:10px 0;color:#2d2c2d;font-family:Tahoma;font-size:14px;font-weight:bold}


#wrap{width:auto;margin:0;padding:10px;border:1px solid #bdbdbd;background:#f7f7f7}

#header{margin-top:10px}

#header,#container{width:auto;padding:10px;border:2px solid #bfbfbf;background:#e5e5e5}

.snb,#content{margin-top:10px;border:1px solid #bdbdbd;background:#fff;text-align:center}

#content{height:200px}

#footer{width:auto;padding:10px;border:2px solid #bfbfbf;background:#e5e5e5}

</style>

</head>


<body>


<div id="wrap">

    <p>#wrap</p>

    


    <div id="header">

        <p>#header</p>

    </div>



    <div id="container">

        <p>#container</p>


        <div class="snb">

            <p>.snb</p>

        </div>


        <div id="content">

            <p>#content</p>

        </div>


</div>


    <div id="footer">

        <p>#footer</p>

    </div>


</div>


</body>

</html>



'x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제 렌더링  (0) 2014.01.09
object, 플래시 삽입시  (0) 2012.12.14
iframe  (0) 2012.12.13
form 컨트롤  (0) 2012.12.13
테이블 표준  (0) 2012.12.11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Menu | System</title>

<link rel="stylesheet" type="text/css" href="style.css" />

<!--[if IE]> <script src="http://html5shiv.googlecode.com/svn/trunk/html5.js"></script> <![endif]--> 

<style>

html,body{width:100%;height:100%}

html{overflow-y:scroll}

body,div,dl,dt,dd,ul,ol,li,h1,h2,h3,h4,h5,form,fieldset,p,button{margin:0;padding:0}

body,h1,h2,h3,h4,input,button{font-family:NanumGothicWeb,verdana,dotum,Helvetica,sans-serif;font-size:13px;color:#383d41}

body{background-color:#fff;*word-break:break-all;-ms-word-break:break-all}

img,fieldset,iframe{border:0 none}

li{list-style:none}

#wrap{width:760px;margin:0 auto}

header{margin-top:20px;padding:20px;border:1px solid #000;background:#474747}

hgroup{overflow:hidden;padding-bottom:20px}

hgroup h1{float:left;font-size:18px;color:#fff}

hgroup h2{float:right;font-weight:normal;color:#fff;opacity:0.8}

nav{clear:both;overflow:hidden}

nav li{float:left;padding-right:5px;font-family:verdana}

nav li span{display:inline-block;padding:3px 10px;border-radius:5px;background-color:#fff}

section{float:left;width:518px;margin-top:15px;margin-bottom:20px;padding:20px;border:1px solid #ccc;line-height:20px}

article{margin-bottom:20px}

article h3{font-size:16px}

aside{float:right;width:163px;padding:10px;margin-top:15px;border:1px solid #ccc;line-height:20px}

aside .ad{height:100px;margin-bottom:20px;background-color:#ebebeb}

footer{clear:both;padding:20px;border:1px solid #ccc}

</style>

</head>

<body>

<div id="wrap">

    <header>

   <hgroup>

   <h1>html5 레이아웃 제작하기</h1>

<h2>ek study</h2>

</hgroup>

<nav>

<ul>

<li><span>header tag</span></li>

<li><span>hgroup tag</span></li>

<li><span>nav tag</span></li>

<li><span>article tag</span></li>

<li><span>section tag</span></li>

<li><span>aside tag</span></li>

<li><span>footer tag</span></li>

</ul>

</nav>

</header>

<section>

<article>

<h3>header tag</h3>

소개 또는 내비게이션 그룹을 나타냅니다.

</article>

<article class="aritldi">

<h3>hgroup tag</h3>

섹션의 제목을 나타냅니다. 이 요소는 섹션의 제목이 몇 개의 레벨을 가질 때(단계를 가질 때, 예를 들어 부제목이나 태그 영역tagline 등)h1~h6 요소들을 그룹짓기 위해 사용됩니다.

문서에서 중요한 뼈대가 어떤것인지를 쉽게 알 수 있도록 합니다.

</article>

<article>

<h3>nav tag</h3>

다른 페이지 또는 동일 페이지의 다른 부분으로 이어주는 섹션, 즉 내비게이션 링크로 구성된 섹션을 나타냅니다.

(웹사이트나 페이지내 메뉴 영역을 정의)

</article>

<article>

<h3>article tag</h3>

문서나 페이지, 또는 사이트의 독립적인 부분을 구성하는 섹션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포럼에 올라온 글, 잡지나 신문의 기사, 블로그 항목, 사용자가 제시한 의견, 상호작용적인 위젯이나 가젯, 기타 모든 독립 아이템일 수 있습니다.

</article>

<article>

<h3>section tag</h3>

일반 문서나 프로그램의 섹션(제목으로 시작하는 컨텐츠의 의미적 그룹)을 나타냅니다.

제목을 붙여서 콘텐츠 그룹을 정의.

스타일 적용이나 스크립트를 사용하기 위해 콘텐츠 중 일부를 묵고싶다면.

</article>

<article>

<h3>aside tag</h3>

요소는 주위 요소의 내용과 접점을 이루는 섹션으로, 보통 사이드바 형태로 표현됩니다

본문을 표시하고 남는 내용을 정의.

관련페이지, 콘텐츠, 사이드바, 답글 영역, 전체 인용, 용어집 등..

</article>

<article>

<h3>footer tag</h3>

문서나 글의 꼬리말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을 정의

</article>

</section>

<aside>

<p class="ad">광고</p>

<ul>

<li><b>div tag</b> :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영역 구분.</li>

<li><b>html5란?</b></li>

<li><b>css3란?</b></li>

</ul>

</aside>

<footer>

<address>by ek</address>

</footer>

</div>

</body>

</html>

<!DOCTYPE html>

<html>

<head>

    <title>New HTML5 page</title>

</head>


<body>

<!-- Add your content here-->

</body>

</html>


출처 : http://html5tutorial.net/examples/basic-template.html


'html5'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 skeleton  (0) 2015.07.10
푸터 고정 템플릿  (0) 2014.05.20

word-spacing:5pt;    //단어간 간격 조절

letter-spacing:7pt;    //자간 조절

line-height:130%;     //줄간격 조절

 

(%,px,pt 등등 사용가능)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S height 100% 잡는법  (0) 2014.05.20
따라다니는 퀵메뉴 참고  (0) 2013.02.25
IE7 레이어 버그  (0) 2013.01.24
clear:both  (0) 2012.05.09
word-break  (0) 2012.05.09


gist1099302-4af0b2d8638bb71c28dac3e9a3724ea8dafe16e7.tar.gz


첨부파일 압축을 풀고

MacOSXDefaultFontFallbacksChanger.command 실행.


접근 불가능할땐,

시스템 환경설정 > 일반 > 다음에서 다운로드한 App 허용 : 모든곳 으로 변경


'mac_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캠프 윈도우 사용시 키 매핑  (0) 2014.06.06
맥에서 한자 입력  (0) 2014.03.29
자주쓰는 단축키  (0) 2014.03.29
호스트 파일 설정  (0) 2014.03.29

fn + option + enter


'mac_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캠프 윈도우 사용시 키 매핑  (0) 2014.06.06
폰트 변경하기  (0) 2014.03.30
자주쓰는 단축키  (0) 2014.03.29
호스트 파일 설정  (0) 2014.03.29

command + 스페이스바 = 한/영 전환키

command + C = 복사하기
command + V = 붙여넣기
command + A = 전체선택
command + Z = 취소하기

인터넷 사용하다가 쓰는 단축키

command + Q = 프로그램 종료
command + W = 사파리에서 열려있는 창 중 하나 닫기
command + M = 창 최소화
command + T = 새 탭 열기
command + N = 새 창 열기
command + [ = 뒤로
command + ] = 앞으로
command + H = 창 숨기기
command + TAB = 실행중인 프로그램 전환
command + R = 새로고침

캡쳐 단축키

command + shift +3 = 전체화면캡쳐
command + shift + 4 = 부분화면캡쳐
command + shift + 4 + space = 원하는 윈도우만 캡쳐

쓸만한 단축키

command + shift + delete = 휴지통 비우기
command + shift + H = 홈 폴더로 이동
command + , (쉼표) = 환경설정으로 이동
command + shift + O = 도큐멘트 폴더로 이동
command + shift + A =어플리케이션 폴더로 이동
command + shift + U =유틸리티 폴더로 이동
command + S = 저장하기
command + delete = 삭제하기


'mac_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캠프 윈도우 사용시 키 매핑  (0) 2014.06.06
폰트 변경하기  (0) 2014.03.30
맥에서 한자 입력  (0) 2014.03.29
호스트 파일 설정  (0) 2014.03.29

맥 호스트 파일 설정 방법

유틸리티>터미널.app실행 ->  sudo /Applications/TextEdit.app/Contents/MacOS/TextEdit /private/etc/hosts 입력
-> PW 입력
-> host 변경 저장 가능

'mac_tip'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트캠프 윈도우 사용시 키 매핑  (0) 2014.06.06
폰트 변경하기  (0) 2014.03.30
맥에서 한자 입력  (0) 2014.03.29
자주쓰는 단축키  (0) 2014.03.29

http://mothereff.in/byte-counter


sms 전송할때 바이트 체크시 유용.

's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 사양 체크 사이트  (0) 2014.03.12

http://www.systemrequirementslab.com/cyri


[출처] http://sriinternet.tistory.com/138

'sit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racters/byte 길이 체크  (0) 2014.03.12

<script language="javascript">  

if(navigator.appVersion.indexOf('MSIE')>0) {

if( confirm("바탕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만드시겠습니까?") ) {

            var WshShell     = new ActiveXObject("WScript.Shell");

            Desktoptemp      = WshShell.Specialfolders("Desktop");    //path

            var sIconNm      = "다음 게임명";    //바탕화면에 생성될 아이콘명.

            var sName        = WshShell.CreateShortcut(Desktoptemp + "\\" + sIconNm + ".URL");

            sName.TargetPath = "http://game.daum.net/cn/shotonline";   //해당게임 URL 

            sName.Save();

        }

} else {

alert("바로가기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만 지원됩니다");

}

</script>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벤트 처리 addEventListener()  (0) 2014.05.21
브라우저 크기, 객체 높이  (0) 2014.05.20
이미지 미리 로딩  (0) 2014.02.28
마우스 오버시 나타나는 메뉴  (0) 2012.02.17
팝업 정가운데 띄우기  (0) 2012.02.17

+ Recent posts